[Window] 사용자 추가 /그룹에 사용자 추가 (admin권한부여)
·
OS/Window
사용자 추가 1) [Window아이콘] - [컴퓨터 관리] 2) [로컬 사용자 및 그룹] - 사용자 3)우클릭 후 -[새 사용자] 에서 사용자 추가 그룹에 사용자 추가 1) [로컬 사용자 및 그룹] - [그룹] - [Administrators] 우클릭 - [그룹에 추가]
[Window] 라우팅 테이블 추가/삭제
·
OS/Window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을 따로 설정하는 이유는 랜카드를 두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의 설정이 필요하다. 글쓴이 같은 경우는 클라우드환경에 있는 서로 다른 Zone의 두 VM의 통신으로 라우팅추가작업을 하였는데, 두 개 중 한 VM은 한개이상의 랜카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대역이 정해져있다. IPsecVPN(Axgate)를 사용하여 다른 Zone이지만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2.168.63.10 (VM1) 10.10.10.10(VM2) 이통신을 해야하는 상황이다. VM2는 여러개의 랜이 부착되어 있다. 통신은 10.10.10.0 /24 대역으로 해야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라우팅 추가 작업을 해준다. 라우팅 테이블 추가 r..
[Linux] 라우팅 테이블 추가하기
·
OS/Linux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을 따로 설정하는 이유는 랜카드를 두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의 설정이 필요하다. 글쓴이 같은 경우는 클라우드환경에 있는 서로 다른 Zone의 두 VM의 통신으로 라우팅추가작업을 하였는데, 두 개 중 한 VM은 한개이상의 랜카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대역이 정해져있다. IPsecVPN(Axgate)를 사용하여 다른 Zone이지만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2.168.63.10 (VM1) 10.10.10.10(VM2) 이통신을 해야하는 상황이다. VM2는 여러개의 랜이 부착되어 있다. 통신은 10.10.10.0 /24 대역으로 해야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라우팅 추가 작업을 해준다. #vi /etc/sys..
[Linux] SFTP 연결 안되는 경우(/etc/ssh/sshd_config 수정)
·
OS/Linux
SSH 접속은 문제 없으나 SFTP로의 접속이 안될 때 (둘다 22포트이기 때문에 방화벽 문제는 아님) 따라서 SSH 설정 문제라고 볼 수 있다. vi /etc/ssh/sshd_config | grep sftp (수정전) #Subsystem sftp /usr/libexec/openssh/sftp-server (수정후) Subsystem sftp /usr/libexec/openssh/sftp-server
[Linux] KISA 취약점 분석 상세 가이드에 따른 조치 정리(2021년기준)
·
OS/Linux
- U-01 : root 계정 원격 접속 제한 양호 : 원격 터미널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거나 , 사용 시 root 직접 접속을 차단한 경우 취약 : 원격 터미널 서비스 사용 시 root 직접 접속을 허용한 경우 [SSH 서비스 사용시] Step 1)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etc/ssh/sshd_config” 파일 열기 Step 2) 아래와 같이 주석 제거 또는, 신규 삽입 (수정 전) #PermitRootLogin Yes (수정 후) PermitRootLogin No - U-02 : 패스워드 복잡성 설정 양호 : 패스워드 최소길이 8자리 이상, 영문·숫자·특수문자 최소 입력 기능이 설정된 경우 취약 : 패스워드 최소길이 8자리 이상, 영문·숫자·특수문자 최소 입력 기능이 설정된 경우 #vi /etc..
[Linux] 사용 중인 Port 확인하기(netstat 명령어)
·
OS/Linux
1. netstat 명령어 netstat(network statistics)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이다. 리눅스, 솔라리스, BSD를 포함한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와 윈도우 XP,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윈도우 8, 윈도우 10을 포함한 윈도우 NT 기반 운영 체제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netstat 옵션 -a : 현재다른PC와 연결(Established)되어 있거나 대기(Listening)중인 모든 포트 번호를 확인 -r : 라우팅 테이블 확인 및 커넥션되어 있는 포트번호를 확인 -n : 현재 다른PC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번호를 확인 -e : 랜카드에서 송수한 패킷의 용량 및 종류를 확인 -..
[Linux] LVM 구성하기 / LVM이란?
·
OS/Linux
LVM(Logical Voulme Manager) LVM이란 물리적인디스크를 논리적 볼륨그룹으로 구성해서 이 논리적인 볼륨그룹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만큼의 논리볼륨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여러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볼륨그룹(VG)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논리볼륨(LV)는 독립적이므로, 하나의 디스크에도 여러 가지의 파일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용량증설이 요구 될 경우에도 볼륨그룹에 물리볼륨(PV)만 추가하여 용량 증설이 가능하고, 데이터량이 감소하여 더 이상 많은 양의 저장공간이 필요 없는 경우, 볼륨그룹에 속한 물리볼륨 개수를 축소하여 용량 감소가 가능하다. LVM구성이유 1) 블록스토리지 추가 최대 개수 문제 클라우드에서 볼륨 증설을 할 경우 OS가 설치되는 기..
[Linux] 사용자 ,그룹 확인/추가/삭제
·
OS/Linux
사용자 조회 cat /etc/passwd 그룹 조회 cat /etc/group - 마지막 5개만 조회 tail -n 5 /etc/group - user01이 속한 그룹 조회 groups user01 user01 : user01 adm wheel -> wheel이 user01과 adm이란 계정이 속한 그룹 그룹 추가 groupadd team01 그룹 삭제 groupdel team01 그룹에 사용자 추가 gpasswd -a user01 team01 Adding user user01 to group team01 그룹에서 사용자 제거 gpasswd -d user01 team01 Removing user user01 from group team01​ 그룹 이름 변경 groupmod -n team02 team01
[Linux] chrootkit(check rootkit) 과 rkhunter(rootkit hunter)
·
OS/Linux
rootkit(루트킷) - 컴퓨터 소프트웨어 중에서 악의적인 것들의 모음으로써, 자신의 또는 다른 소프트웨어의 존재를 가림과 동시에 허가되지 않은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의 영역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용도로 설계됨 - 루트킷의 설치는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공격자가 루트 권한이나 관리자 접근을 획득하였을 때 설치될 수 있음. 한 번 설치되면, 권한을 가진 접근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침입을 숨길 수도 있다. - 악의성 공격자들은 한번 접속에 성공하면 백도어 및 트로이잔 프로그램을 만들어 놓는데, 그것이 rootkit이다. rootkit 탐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1) rkhunter(rootkit hunter) 루트킷 헌터는 루트킷 , 백도어 및 가능한 로컬 익스플로잇을 검색하는 Unix 기반 도구입니다 . 중요..
[Linux] 캐시되어 있는 yum의 패키지 정리하기
·
OS/Linux
$ yum clean all - 캐시되어 있는 yum의 헤더와 패키지를 모두 제거 하는 명령어 - 로컬을 초기화하고 원격으로 repository(저장소)를 찾음 $ yum check *yum 패키지를 체크 $ yum check-update 서버에 설치된 yum 패키지 중에서 업데이트가 가능한 목록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