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을 따로 설정하는 이유는
랜카드를 두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의 설정이 필요하다.
글쓴이 같은 경우는 클라우드환경에 있는 서로 다른 Zone의 두 VM의 통신으로 라우팅추가작업을 하였는데, 두 개 중 한 VM은 한개이상의 랜카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대역이 정해져있다.
IPsecVPN(Axgate)를 사용하여 다른 Zone이지만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2.168.63.10 (VM1) <-> 10.10.10.10(VM2) 이통신을 해야하는 상황이다.
VM2는 여러개의 랜이 부착되어 있다. 통신은 10.10.10.0 /24 대역으로 해야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라우팅 추가 작업을 해준다.
라우팅 테이블 추가
route add [IP주소] mask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if [인터페이스ID] -p
#route add 192.168.63.0 mask 255.255.255.0 10.10.10.1 if 14 -p
192.168.63.0/24 대역으로 들어오는 트래픽들은 10.10.10.1 gateway(14번의 NIC)로 받겠다는 의미
[인터페이스ID]는 NIC를 지정하는 번호이며 번호는 route print 명령을 통해 번호를 알 수 있다.
1) 랜카드 두개 부탁되어 있는 것 확인
2) 랜카드 이름 확인
이렇게 어댑터 이름을 확인 한 후 , cmd(관리자권한)을 실행하여 번호를 확인한다.
3) NIC 번호 확인
#route print
#ping 192.168.63.10
#telnet 10.10.10.1
route print 명령어를 통해 라우팅테이블 정보를 확인하고, 통신테스트(ping 또는 telnet)을 하여 확인한다.
라우팅 테이블 삭제
route delete [IP주소] mask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if [인터페이스ID] -p
#route delete 192.168.63.0 mask 255.255.255.0 10.10.10.1 if 14 -p
728x90
728x90
'OS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tracert 명령어 (경로 추적) (0) | 2022.12.23 |
---|---|
[Window] 사용자 추가 /그룹에 사용자 추가 (admin권한부여) (0)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