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을 따로 설정하는 이유는
랜카드를 두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의 설정이 필요하다.
글쓴이 같은 경우는 클라우드환경에 있는 서로 다른 Zone의 두 VM의 통신으로 라우팅추가작업을 하였는데, 두 개 중 한 VM은 한개이상의 랜카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대역이 정해져있다.
IPsecVPN(Axgate)를 사용하여 다른 Zone이지만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2.168.63.10 (VM1) <-> 10.10.10.10(VM2) 이통신을 해야하는 상황이다.
VM2는 여러개의 랜이 부착되어 있다. 통신은 10.10.10.0 /24 대역으로 해야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라우팅 추가 작업을 해준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route-eth1
192.168.63.0/24 via 10.10.10.1
192.168.63.0/24 대역으로 들어오는 트래픽들은 10.10.10.1 gateway(eth1이더넷)로 받겠다는 의미이다.
[VM2]
#ip route
#ping 192.168.63.10
#telnet 10.10.10.1
ip route 명령어를 통해 라우팅테이블 정보를 확인하고, 통신테스트(ping 또는 telnet)을 하여 확인한다.
728x90
728x90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Repository란? (0) | 2022.11.10 |
---|---|
[Linux] SFTP 연결 설정 ( Subsystem sftp internal-sftp , Subsystem sftp /usr/libexec/openssh/sftp-server 차이) (0) | 2022.10.12 |
[Linux] SFTP 연결 안되는 경우(/etc/ssh/sshd_config 수정) (0) | 2022.07.26 |
[Linux] KISA 취약점 분석 상세 가이드에 따른 조치 정리(2021년기준) (0) | 2022.06.23 |
[Linux] 사용 중인 Port 확인하기(netstat 명령어)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