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LVM 구성하기 / LVM이란?

2021. 11. 22. 15:57·OS/Linux
목차
  1. LVM(Logical Voulme Manager)
728x90
반응형

LVM(Logical Voulme Manager)

LVM이란 물리적인디스크를 논리적 볼륨그룹으로 구성해서 이 논리적인 볼륨그룹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만큼의 논리볼륨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여러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볼륨그룹(VG)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논리볼륨(LV)는 독립적이므로, 하나의 디스크에도 여러 가지의 파일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용량증설이 요구 될 경우에도 볼륨그룹에 물리볼륨(PV)만 추가하여 용량 증설이 가능하고, 데이터량이 감소하여 더 이상 많은 양의 저장공간이 필요 없는 경우, 볼륨그룹에 속한 물리볼륨 개수를 축소하여 용량 감소가 가능하다.

 

LVM구성이유

1) 블록스토리지 추가 최대 개수 문제 

클라우드에서 볼륨 증설을 할 경우 OS가 설치되는 기본 스토리지 1개 이외에 최대 추가할 수 있는 개수가 정해져 있으며, 각 스토리지 용량 또한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네이버클라우드는 최대 15개를 추가할 수 있으며, 각 스토리지 용량은 10GB~2,000GB 까지 가능하다.)

따라서 2,000GB 이상을 사용해야 할 경우는 NAS 장비를 사용하거나 Object Storage를 활용해야하는데 상황에 따라서 2,000GB를 초과하는 용량의 블록스토리지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LVM을 사용하여 여러개의 스토리지를 합쳐서 대용량으로 사용하거나 합쳐진 대용량을 다시 필요한 용량으로 나누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2) 블록스토리지를 추가하여 같은 디렉토리를 마운트를 못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team1 , team2 , admin 이란 디렉토리에 디스크를 할당해 그룹으로 관리 할 수 있다.

Ex)

team1에는 user1 ,user2가 속해있고

tesm2에는 user3 , user4가 속해있다.

admin에는 user1 , user3이 속해있다.

마운트 후 user1(team1)이 team2로 접근시 허가거부 되게끔 권한 설정 작업을하면 사용자,그룹간 이용이 용이하다.

 

 

LVM 작업 순서

1) System Partition ID 변경 (fdisk CMD)

2) PV 생성 (pvcreate CMD)

3) VG 생성 (vgcreate CMD)

4) LV 생성 (lvcreate CMD)

5) F/S 생성 (mkfs CMD)

6) 마운트 (mount CMD , /etc/fstab)

 

 

LVM 구성완료 후 용량 확장하기(50G)


fdisk /dev/sda
n
p
3 //파티션넘버 설정
default(엔터)
+50G
t //타입 변경
3 //파티션 선택
8e //LVM 선택
w //저장

fdisk -l
lsblk

[메모리,디스트 sync 작업]
partprobe -s
partprobe /dev/sda3

[pv생성]
pvcreate /dev/sda3
pvs

[vg확장]
vgextend centos /dev/sda3
vgs

[lv확장]
lvextend -L +50GB /dev/centos/gwdata01
lvs
df -h

[파일시스템 리사이징]
xfs_growfs /dev/centos/gwdata01
df -h

728x90
728x90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KISA 취약점 분석 상세 가이드에 따른 조치 정리(2021년기준)  (0) 2022.06.23
[Linux] 사용 중인 Port 확인하기(netstat 명령어)  (0) 2022.06.22
[Linux] 사용자 ,그룹 확인/추가/삭제  (0) 2021.11.22
[Linux] chrootkit(check rootkit) 과 rkhunter(rootkit hunter)  (0) 2021.11.19
[Linux] 캐시되어 있는 yum의 패키지 정리하기  (0) 2021.11.19
  1. LVM(Logical Voulme Manager)
'OS/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KISA 취약점 분석 상세 가이드에 따른 조치 정리(2021년기준)
  • [Linux] 사용 중인 Port 확인하기(netstat 명령어)
  • [Linux] 사용자 ,그룹 확인/추가/삭제
  • [Linux] chrootkit(check rootkit) 과 rkhunter(rootkit hunter)
이코딩
이코딩
이코딩의 자동화 연구소 블로그입니다.
  • 이코딩
    이코딩의 자동화 연구소
    이코딩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0)
      • IT (20)
        • IT 기초 지식 (13)
        • 네트워크 기초 (2)
        • 클라우드 (4)
      • DevOps (15)
        • Ansible (2)
        • Terraform (12)
        • Kubernetes (1)
      • Cloud (11)
        • NCP (NAVER Cloud Platform) (4)
        • NHN (NHN Cloud) (5)
        • AWS (Amazon Web Service) (2)
      • OS (1)
        • Linux (36)
        • Window (3)
      • 언어 (6)
        • JAVA (3)
        • Python (3)
      • 문서 작업 (2)
        • EXCEL (2)
      • 오픈소스 (6)
        • Zabbix (3)
        • Apache + Tomcat (3)
  • 반응형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Terraform
    클라우드
    NCP
    cloud
    Apache
    라우팅 테이블
    NHN Cloud
    tomcat
    가상화
    테라폼업앤러닝
    Linux
    window
    Java
    sftp
    Python
    ansible
    CentOS
    AWS
    Routing Table
    zabbix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이코딩
[Linux] LVM 구성하기 / LVM이란?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