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df , du 명령어 사용법 (파일 시스템 사용량 측정)

2021. 10. 18. 16:47·OS/Linux
목차
  1. df (disk free space) - 파티션 단위의 사용량 점검
  2.  
  3. du (disk usage) - 디렉토리 단위의 사용량 점검
728x90
반응형

df (disk free space) - 파티션 단위의 사용량 점검

df 명령어는 남은 디스크 블럭과 남은 파일의 수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df 명령어에 -k, -h 옵션 등을 사용하면 출력 결과는 파일시스템 크기, 사용된 공간, 남은 공간, 전체에서 사용중인 %사용량, 마운트 포인트등을 출력한다.

 

[명령어 형식]

# df
# df -k          (-k : KB)
# df -m         (-m : MB)
# df -h          (-h : human)

# df -k /data1
# df -k /data1 /home

# df -T        (#alias df='df -T -h')
옵션 설명
-k 여유 용량을 킬로바이트(kilobyte) 단위로 출력
-h 여유 용량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킬로바이트(kilobyte)와 메가바이트(megabyte) 단위등으로 출력
-F 파일 시스템의 타입을 지정하여 지정한 파일시스템 영역만을 출력
-i 블록 여유 용량 대신 inode 사용 정보로 출력
-a 디플로이로 생략된 0 블록 크기의 파일 시스템도 보여줌
-t fstype 값을 가진 파일 시스템에 대한 디스크 정보
-T 파일 시스템의 종류와 함께 디스크의 정보를 보여줌

ex) df 명령어에서 파일시스템이 xfs 인 것을 검색하고 해당 검색된 라인에서 Use% Mounted on만 출력해 봅니다.

# df -T | head -1 | awk '{print $6" "$7}'; df -T | grep xfs | awk '{print $6" "$7}' | column -t

 

 

du (disk usage) - 디렉토리 단위의 사용량 점검

du 명령어는 디스크와 파일의 사용량을 보여준다. du 명령어에 -s, -a, -k, -h 옵션 등을 사용하면 출력 결과는 디렉토리와 파일의 크기, 사용된 공간, 남은 공간, 전체에서 사용중인 사용량을 출력한다.

 

[명령어 형식]

# du /etc
# du -k /etc          (-k : KB)   
# du -m /etc         (-m : MB)
# du -h /etc          (-h : human)

# du -ak /etc
# du -am /etc
# du -ah /etc

# du -sk /etc       (-s : sum)
# du -sm /etc
# du -sh /etc
옵션 설명
-s 해당 경로의 디스크 용량 총 합계만 출력
-a 해당 경로에 대한 사용한 디스크 용량 표시
-k 용량 표시를 킬로바이트(kilobyte) 단위로 표시
-m 용량 표시를 메가바이트(megabyte) 단위로 표시
-h 여유 용량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킬로바이트(kilobyte)와 메가바이트(megabtye) 단위 등으로 출력
728x90
728x90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visudo로 sudo권한 설정하기(/etc/sudoers)  (0) 2021.10.20
column 명령어 (출력 형식 정렬)  (0) 2021.10.18
ssh 포트 변경( 22 → 2288)  (0) 2021.10.12
SSH 접속 시 Disconnected: No supported authentication methods available (server sent: publickey,gssapi-keyex,gssapi-with-mic)  (0) 2021.10.12
[Linux 명령어] JAVA 버전과 위치 확인하기  (0) 2021.09.15
  1. df (disk free space) - 파티션 단위의 사용량 점검
  2.  
  3. du (disk usage) - 디렉토리 단위의 사용량 점검
'OS/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visudo로 sudo권한 설정하기(/etc/sudoers)
  • column 명령어 (출력 형식 정렬)
  • ssh 포트 변경( 22 → 2288)
  • SSH 접속 시 Disconnected: No supported authentication methods available (server sent: publickey,gssapi-keyex,gssapi-with-mic)
이코딩
이코딩
이코딩의 자동화 연구소 블로그입니다.
  • 이코딩
    이코딩의 자동화 연구소
    이코딩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0)
      • IT (20)
        • IT 기초 지식 (13)
        • 네트워크 기초 (2)
        • 클라우드 (4)
      • DevOps (15)
        • Ansible (2)
        • Terraform (12)
        • Kubernetes (1)
      • Cloud (11)
        • NCP (NAVER Cloud Platform) (4)
        • NHN (NHN Cloud) (5)
        • AWS (Amazon Web Service) (2)
      • OS (1)
        • Linux (36)
        • Window (3)
      • 언어 (6)
        • JAVA (3)
        • Python (3)
      • 문서 작업 (2)
        • EXCEL (2)
      • 오픈소스 (6)
        • Zabbix (3)
        • Apache + Tomcat (3)
  • 반응형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Java
    Linux
    tomcat
    라우팅 테이블
    클라우드
    cloud
    AWS
    NHN Cloud
    테라폼업앤러닝
    NCP
    ansible
    zabbix
    Routing Table
    CentOS
    가상화
    window
    Terraform
    Apache
    sftp
    Python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이코딩
[Linux] df , du 명령어 사용법 (파일 시스템 사용량 측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