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P - 서버생성 및 블록스토리지 마운트와 NAS마운트
Cloud/NCP (NAVER Cloud Platform)

NCP - 서버생성 및 블록스토리지 마운트와 NAS마운트

728x90
반응형

1. 서버생성 및 블록스토리지 마운트 

1-1. 포트포워딩 설정 

*classic에서 공인IP를 할당(요금부과됨)받아서 서버접속을 할 수 있지만, test용이기 때문에 포트포워딩 설정(요금부과 X)을 한다. 

 

1-2. 서버 접속

1-3. 스토리지 생성 후 서버접속하여 스토리지 확인

 

 

1-4. 생성한 스토리지의 파티션 생성

 

1-5. 파일시스템 생성 후 파일시스템 검사

mkfs.xfs /dev/xvdb1
fsck /dev/xvdb1

* 파일시스템 생성 후 파일이 깨지지 않았는지 fsck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함

 

[참고]

서버 이미지에 따라 포멧 명령어가 다름

  • CentOS 5.x: mkfs.ext3 /dev/xvdb1
  • CentOS 6.x: mkfs.ext4 /dev/xvdb1
  • CentOS 7.x: mkfs.xfs /dev/xvdb1 —> 여기서는 CentOS 7 버전임
  • Ubuntu Server / Desktop: mkfs.ext4 /dev/xvdb1

 

 

1-6. 블록스토리지 마운트 후 /etc/fstab 등록

 

mkdir /data
blkid

 

vi /etc/fstab

nofail 옵션: 장치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음 //내서버이미지 생성해서 그이미지로 새로운 서버를 생성하거나, auto scaling으로 서버생성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함. 그래서 nofail옵션을 두는 것이 좋다.

*주의* defaults, nofail 같이 옵션을 둬야 추후에 블록스토리지가 detach 되어도 문제가 없다!!

* 캡처화면에서 /mntdb1 은 여기서 /data 임

2021.09.02 - [OS/Linux] - fstab 자동 마운트 옵션

 

- /etc/fstab에 등록 먼저 하고 그다음에 mount -a 해야, 부팅해서 잘되었는지 알 수 있다.

mount -a

 

- 마운트 확인

 

2. NAS 마운트하기

먼저 NFS 접근제어를 설정한다. ACL 설정 서버를 변경해 서버 또는 IP를 추가해 설정한다.

 

2-1. NFS 관련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nfs-utils

2-2. NFS를 사용하기 위한 RPC데몬 실행하고 부팅시에도 데몬실행되게 서비스 enable

systemctl start rpcbind.service
systemctl enable rpcbind.service

2-3. 마운트할 디렉터리 생성(마운트 포인트 생성)

mkdir /mnt/nas

2-4. 마운트 정보 확인 후 NAS마운트

mount -t nfs x.x.x.x:/n2531870_sreTest /mnt/nas

*예를 들어서 마운트 정보에서 확인할 때 x.x.x.x:/볼륨이름 이라는 볼륨을 받았다면 위와 같은 명령으로 마운트하면 됨

 

2-5. 부팅시 자동 마운트 설정

*주의* 여기서도 defaults, nofail 같이 옵션을 둬야 추후에 블록스토리지가 detach 되어도 문제가 없다!!

 

 

 

*참고

https://guide.ncloud-docs.com/docs/ko/compute-compute-4-1-v2

https://guide.ncloud-docs.com/docs/ko/storage-storage-4-1

728x90
728x90